저는 주식투자를 굉장히 좋아합니다.
나름 전문가 집단에 있으면서도 뇌동매매를 끊을 수 없습니다.
like 뉴지랩..
게다가 저는 차트같은걸 볼 줄도 몰라서 하는거라곤 밸류에이션 뿐이죠..
요샌 그래도 차트에 조금 관심을 가지고 있어 몇가지 정보를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1. 차트
제가 사랑하는 삼성전자의 차트입니다.
저는 이상하게 어플보다 네이버금융으로 보는게 좋더라구요..?
저는 통상 이동평균선, 볼린저밴드, 거래량, MACD를 켜놓고 합니다만.. 잘 보진 않습니다.
2. 이동평균선
-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를 산술 평균한 값인 주가이동평균을 차례로 연결해 만든 선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 굉장히 직관적입니다. 좌측 상단 이동평균 5, 20, 60, 120 이라고 되어있는 녀석들이고 차트상 보이는 색깔로 추론하시면 됩니다.
예를들면 5일 이동평균을 계산한다고 하면 해당 날짜를 포함한 최근 5일간의 종가를 합한뒤 5나누면 되고, 이렇게 나온 값들을 선으로 이으면 5일 이동평균선이 됩니다.
따라서 주가가 상승추세라면 이동평균선도 상승하고, 반대라면 하락하겠죠.
근데 주가흐름에 따라 단기이동평균선(5,20)이 장기이동평균선(60,120)과 교차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당기선이 장기선을 뚫고 상승하면 골든크로스라고 부르며 장기적추세(장기이동평균선)에 비해 단기추세(단기이동평균선)의 상승 추세가 가파를때 발생하므로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는 전반적인 흐름만 파악하는 정도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2. 볼린저밴드
제가 가장 좋아하는 지표입니다. 아마 대부분의 분들도 그러할겁니다.
볼린저밴드는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표준편차x2'가 더해진 상한선, '표준편차x2'가 빠진 하한선으로 구성된 밴드내에서 움직인다는 전제로 출발합니다. 제가 설명드리는 것보단 '볼린저밴드 투자기법' 이라는 책을 읽어보시면 좋겠습니다.
저는 밴드의 폭이 좁아진 후 상단 돌파시 매수하라는 존 볼린저씨의 말만 새겨듣고 있습니다.
3. MACD
이동평균선이 교차한 후에는 다시 이격될 수 밖에 없고, 이격이 발생한 경우 다시 교차할 수 밖에 없다는 출발점에서 착안된 분석방법입니다.
위 설명대로 MACD는 MACD선과 시그널선으로 구성되며, MACD선이 시그널선을 상팡돌파하면 매수 신호로 판단하고, 반대면 매도 신호로 판단한다고 하는데, 그러기엔 매수와 매도 신호가 너무 자주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저처럼 매매횟수가 제한적인 분들에겐 전체적인 추세만 파악하는 용도로 활용하는게 좋습니다.
요새 주식시장도 활황이고 코인투자하시는 분들도 늘면서 차트에 대한 관심을 가지시는 분들이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차트에 대해 크게 신뢰하지 않는 스타일이라 위와 같은 아주 기초중에 기초만 켜놓고 있습니다만,
관심 있는 분들은 더욱 공부해보셔도 좋을 듯 합니다.
다만 여전히 저런 지표들은 모두 보조지표이며 절대적 가치평가로 활용될 수 없음에 반드시 주의하셔야 합니다.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하이텍] 이렇게까지 조정? (0) | 2021.02.09 |
---|---|
[앤씨앤] 이제 좀 가니? (0) | 2021.01.27 |
[종근당][뉴지랩][삼성전자][DB하이텍] (0) | 2021.01.17 |
[IPO/공모주] 2021년 IPO 시작 (0) | 2021.01.17 |
[DB하이텍][삼성전자] 단기 조정? 여전히 좋다 (0) | 2021.01.13 |